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향토유산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장산 장병준 생가1 이미지 크게보기

photo view

장산 장병준 생가

  • 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장산대리길 22-1
  • 지정종목 : 향토자료
  • 분 류 : 향토유산
  • 상세정보

장병준 생가는 장산도에서 넓은 토지를 기반으로 부를 이룬 인동 장씨 일가의 한옥으로,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였던 장병준과 장홍염 형제가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다.

장병준은 장진섭과 하동 정씨 사이에서 4형제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던 때, 전남에서 가장 먼저 일어난 장산도 3·18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이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29년에는 신간회 창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광복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전남지부 부위원장을 역임했고, 1960년 3·15 부정선거 규탄 시위에도 앞장서는 등 지역 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 공로를 기려 1980년에 건국포장을,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장홍염(張洪琰)은 장병준의 막냇동생으로,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나자 서울 지역 학교들의 시위를 주도하였고, 이후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일제강점기 말, 태평양 전쟁이 일어난 후에는 한국광복군 전남지구대 참모장으로 활동하였다. 장홍염에게도 199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이 가옥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곳으로, 지금은 안채와 문간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원래 작은 초가였으나 1960년경에 새로 지었으며, 1995년경에 지붕을 기와로 바꾸면서 정면 6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기와집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2013년, 장병준의 후손들은 신안군과 함께 선양 사업을 추진하며 이 가옥을 신안군에 기부하였다.

  • 찾아오시는 길
로드뷰
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

'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

  • 목록

의견쓰기

0 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의견저장
QR CODE
  • 왼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QR Code는 『향토유산 197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QR Code 이미지 https://jp.shinan.go.kr/_wscms30/plugin/qrcode/php/qr_img.php?d=https://jp.shinan.go.kr/q/ezQ2NzV8MTk3fHNob3d8cGFnZT0zfQ==&e=M&s=3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