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 람사르습지 생성
장도의 면적은 약 1.57㎢으로 주민 80여 명(2025년 8월 기준)이 살고 있습니다. 산 정상부(최대 233m)에 위치한 산지습지(90,414㎡)는 2003년에 처음 세상에 알려졌으며, 2005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습니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층을 화강암이 관입한 후 차별침식을 통해 형성된 와지 위에 산지습지가 위치하며, 와지로부터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향하는 절리를 중심으로 침식이 진행되어 완사면의 평탄지와 계곡을 이룬다.
신안 장도 산지습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의 지질은 신생대 제4기 충적층, 해빈퇴적층, 문암산층, 심리층, 장도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습지퇴적층의 두께는 조사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최대 1m를 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대부분은 깊이 50㎝ 이내이다. 퇴적물은 모래와 실트가 혼재된 쌍봉분포를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반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산림토양의 일반적인 유기물 함량 범위보다 조금 높은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층을 화강암이 관입한 후 차별침식을 통해 형성된 와지 위에 산지습지가 위치하며, 와지로부터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향하는 절리를 중심으로 침식이 진행되어 완사면의 평탄지와 계곡을 이룬다.
신안 장도 산지습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의 지질은 신생대 제4기 충적층, 해빈퇴적층, 문암산층, 심리층, 장도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습지퇴적층의 두께는 조사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최대 1m를 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대부분은 깊이 50㎝ 이내이다. 퇴적물은 모래와 실트가 혼재된 쌍봉분포를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반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산림토양의 일반적인 유기물 함량 범위보다 조금 높은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물다양성 및 보전
장도의 훼손되지 않은 습지와 숲에는 식물 256종, 양서•파충류 5종, 육상곤충 356종, 조류 69종, 포유류 4종,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종 등 710여종의 생물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멸종위기종인 흑비둘기, 섬개개비, 수달, 석곡 등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섬개개비
석곡
흑산도비비추
자료출처 : 내륙습지 정밀조사 보고서(2024년)

'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